-
[블록체인] 블록체인의 수익 창출 원리블록체인 2022. 3. 19. 10:09반응형
산학 트랙으로 간다면
생태계를 만들고, 이를 활용한 수익 창출 요소와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최초의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모델들은 이렇다할 수익 창출 요소가 없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보안 계열의,,.,잘 모르지만 학문의 영역에 있었던 블록체인이 점차 기업의 관심 요소가 되면서
블록체인을 활용해 어떤 프로젝트를 했을 때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지 궁리하기 시작했다.
산업에 적용한다면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가 상호작용하는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탈중앙화라는 특성을 지닌 블록체인은 기존의 개념으로써는 수익을 창출할 수 없다.
기업이 발행한 서비스,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대가로 돈! 이라는 수익을 얻는 게 일반적인 수익 모델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로 인해 기업이 사용자에게 직접 제품을 조달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퍼블릭 환경에서 다수의 참여자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나눠 가지게 된다. 힘들여 블록체인 모델을 짰다고 할지라도., 이 생태계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수익을 갖게 되는 구조다.
그래서 현재 블록체인 모델을 활용해
데이터의 소유권을 인정해 주는 형식으로 사업하거나(NFT) 하는 기업들은 다른 수익 모델을 구상한다.
그것은 코인과 관련된 것이다.
네트워크에 코인을 예치하면 그 코인이 네트워크에 대한 지분을 증명하는 수단이 된다. 한 코인을 사는 것은 한 주식을 사는 것과 대충 비슷하다고 이해했다. 이 코인이 참여자임을 증명하기 때문에 이 참여자들은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수수료를 나눠 갖는다.
알아 보니까 이더리움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료로 정기 수익을 얻고 있는 듯하다
반응형'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패브릭 네트워크 세팅 (0) 2022.03.25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으로 네트워크 생성하자 (0) 2022.03.24 [블록체인] 체인코드 동작 과정 (0) 2022.03.23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 블록체인 (0) 2022.03.22 [블록체인] 블록체인이란 / 작업증명 / DID 란/ 하이퍼레저 인디 (0) 2022.03.18